[경제 리뷰] IMF 세계경제전망 보고서 “2023년 한국 경제성장률 1.5%”로 낮춰 > 서비스리뷰

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경제 리뷰] IMF 세계경제전망 보고서 “2023년 한국 경제성장률 1.5%”로 낮춰

전 세계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금융안정 리스크 더 높아져

본문

[리뷰타임스=김우선 기자] 인플레이션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가운데 실리콘밸리은행(SVB)발 신용경색 리스크까지 더해지면서 각국의 기준금리 인상 행보가 전 세계 금융시스템에 '급격한 위험'이 될 수 있다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경고가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11 (미국 워싱턴 기준) 2023 4월호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WEO) 발표했다. 세계경제전망은 IMF 매년 1·4·7·10 발간하는 대표적인 보고서로 세계경제와 회원국의 경제성장률을 분석·전망하고 정책 방향을 제언하는 보고서이다.

 

IMF 최근의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시장으로 파급될 가능성을 우려하며 ‘23 세계경제 성장률을 2.8% 전망했다. 이는 지난 1 전망치(2.9%) 비해 0.1%p 햐향 조정된 수치이다. 또한 IMF 세계경제 중기성장률(5년뒤 성장률) 3.0% 전망했는데 이는 WEO 발간된 ’90 4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우리나라가 포함된 미국, 영국, 일본 선진국 그룹의 ‘23 예상 경제성장률은 1.3% 지난 1 전망(1.2%) 대비 소폭 상승하였다. 미국(1.6%, +0.2%p), 영국(0.3%, +0.3%p), 이탈리아(0.7%, +0.1%p), 스페인(1.5%, +0.4%p) 등은 지난 1 전망 대비 상향조정되었으며 독일(0.1%, 0.2%p), 일본(1.3%, 0.5%p), 우리나라(1.5%, 0.2%p) 등은 하향조정되었다.

 

 IMF 금번 WEO에서 제시한 ‘23 한국 성장률 전망(1.5%) 정부, 한국은행, OECD 주요 기관에서 전망한 수치와 유사한 이다.

 

신흥국 및 개도국 그룹의 ‘23년 예상 경제성장률은 3.9%로 지난 1월 전망(4.0%) 대비 소폭 하락했다. 중국(5.2%, 유지)은 1월 전망치를 유지했으며 인도(5.9%, △0.2%p), 브라질(0.9%, △0.3%p)은 하락, 러시아(0.7%, +0.4%p), 멕시코(1.8%, +0.1%p), 사우디(3.1%, +0.5%p) 등은 상승했다.

 

IMF는 올해 세계경제 여건을 험난한 회복과정(A Rocky Recovery)으로 평가했다. 지난해부터 세계경제를 괴롭혀온 러-우 전쟁, 경제분절화 심화, 인플레이션 등 불안요인이 해결되지 못한 채 최근의 실리콘밸리 은행·크레딧스위스 사태 등 금융시장 불안이 확산되는 상황에 대한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IMF는 이 외에도 지나치게 높은 공공·민간부채 수준, 신흥국 및 개도국 그룹 중심으로 나타나는 신용 스프레드 상승 등을 잠재적인 위험요인으로 제시했다.

 

특히 이러한 금융환경 긴축은 신흥시장, 개도국의 신용 및 재정에 직격탄이 돼 대규모 자본유출 등을 촉발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성장 전반에 여파가 불가피하다. 최악의 시나리오가 현실화할 경우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1%까지 둔화할 수 있다는 것이 IMF의 진단이다. 성장률 1%는 인당 소득이 거의 정체됨을 의미한다. IMF는 해당 시나리오의 가능성을 15%로 제시했다.

 

또한 이번 보고서에서 눈길을 끄는 대목은 SVB 사태로 인한 금융 불안 가능성에 대한 경고다. 앞서 SVB, 시그니처 은행의 연쇄 파산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급격한 긴축이 실물경제뿐 아니라 금융 시스템에도 타격을 줄 수 있음을 확인시킨 사례로 평가된다.

 

IMF는 금융시장 불안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면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충분히 낮아질 때까지 긴축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정당국에는 통화정책과의 정합성 및 부채관리를 위해 긴축재정을 권고하는 한편, 생계비 완화를 위한 재정지원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선별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재정적자와 부채규모를 지속가능한 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며 저탄소 경제체제로 빠르게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ansonny@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추천한 회원
profile_image TepiphanyI리뷰어 profile_image MRMI리뷰어
김우선I기자의 최신 기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