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 리뷰] 암릉 느끼고 싶은 등린이에 제격 '관악산 용마능선'

본문
등산을 시작하며 조금 등력이 붙으면 흙산보다는 바위산에 눈길이 갑니다. 부드러운 흙산보다 바위산은 산을 타는 맛도 있고, 무엇보다 바위에서 나무가 덜 자라다보니 풍광이 좋고 암릉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곳곳에 아찔한 암릉은 등린이의 발걸음을 멈추게 합니다.
서울을 둘러싼 대부분의 산은 바위산입니다. 우리나라가 화강암의 나라인 까닭이죠. 관악산 역시 바위산입니다. 서울 남부의 명산 관악산은 수많은 코스가 있는 산입니다. 그 가운데서는 제가 제일 무서웠던 육봉, 팔봉처럼 어려운 코스도 있지만, 부터 초보자를 위한 코스도 많아 마음대로 골라 갈 수 있습니다.
· 산행코스 : 과천향교-산불감시초소-관악문하단-관악사~연주암-연주대(정상)-연주암-과천향교계곡길-대피소-과천향교
· 총거리 : 약 6.8km, 소요시간 : 3시간 40분 (휴식시간 포함)
이 가운데 용마능선은 험한 관악산 가운데서는 비교적 쉬운 능선으로 조금만 올라도 풍광이 좋습니다. 상대적으로 산객이 적어 조용하고 호젓한 등산을 할 수 있고, 관악산 암릉미를 그대로 느낄 수 있어 인기가 많은 코스입니다. 정비는 잘 되어 있으나 다만 관악산이 여러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까닭인지 아니면 국립공원이 아닌 까닭인지, 안내판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은 단점입니다.
오르면서 관악산 정상과 뒤를 돌면 청계산, 수리산을 보며 오를 수 있구요, 능선 끝에서는 사당능선과 만나 관악문을 통해 정상에 오를 수 있으며, 허리길로 관악사와 연주암을 들려 정상으로 갈 수 있습니다. 연주암은 매점, 음료수 자판기, 화장실이 잘 마련되어 있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는 제가 제일 좋아하는 라면 맛집이기도 합니다.
하산은 편해야하죠. 계곡길, 이른바 과천향교 코스로 내려옵니다. 시원한 계곡물소리와 마실 수 있는 약수터를 즐기며 안전하게 하산하는 코스입니다.
과천향교에서 시작하며 처음에는 흙산이지만 곧 관악산의 바위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코스의 장점은 조금만 올라도 조망이 좋다는 것이지요. 중간 중간 암릉지대가 이어지며, 딱히 위험한 곳은 없습니다. 정상과 과천 조망을 느끼며 등산합니다.
사당역에서 시작하는 사당능선과 만나 정상에 오를 수 있으며, 허릿길로 관악사와 연주암을 만납니다. 초보자라면 관악사 방면을, 산을 좀 타고 싶다면 관악문 방면을 추천합니다.
연주암에서도 쉽게 정상에 갈 수 있으며 여기서 바라보는 풍경이 관악산의 랜드마크죠. 연주암은 비교적 큰 사찰로 깨끗한 화장실과 매점 등이 있어 쉬어 가기 좋습니다. 꼭 라면 드세요. 컵라면 3천원에 진정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답니다.
하산길인 과천향교 코스는 관악산에서 가장 깊은 계곡길로 잘 정비되어 있는 계단길입니다. 관악산에서 물소리가 제일 잘 들린다는 재미있는 표지판도 만날 수 있습니다. 과천향교에 도착할 때쯤 관악산 케이블카도 볼 수 있습니다. 아무나 타는 것은 아니고 방송용 장비입니다. 연주암에서 템플스테이 하면 태워주기도 한다더군요.
봄을 관악산에서 느껴보세요.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한 회원



곰돌이아빠I리뷰어의 최신 기사
-
[서비스리뷰] [식당 리뷰] 분명 칼국수집인데 파전이 더 맛나네? 신내동 노고단칼국수2025-04-27
-
[문화&이벤트 리뷰] [나들이 리뷰] 서울에서 만나는 분홍빛 철쭉의 향연, <불암산 철쭉동산> & <상계 나들이 철쭉동산>2025-04-27
-
[서비스리뷰] [식당 리뷰] 의정부 부대찌개 골목의 숨은 보석, 형네식당 방문기2025-04-26
-
[문화&이벤트 리뷰] [트레킹 리뷰] 홍콩에서 등산하기? 홍콩 '드래곤스 백' 트레킹 후기2025-04-18
-
[문화&이벤트 리뷰] [여행 리뷰] 중국 비자 면제로 홍콩에서 비자없이 중국 입국해보기2025-04-18
-
[테크리뷰] [해외 전자상가 리뷰] 홍콩 골든 컴퓨터 아케이드의 쇠락과 용산 전자상가의 미래2025-04-18
-
[테크리뷰] [전시회 리뷰] 과거의 영광은 어디로? 2025 홍콩 전자전을 가보니...2025-04-18
-
[한줄리뷰] Crowne Plaza Shenzhen Futian 호텔 조식2025-04-18
댓글목록4
MRMI리뷰어님의 댓글
곰돌이아빠I리뷰어님의 댓글의 댓글
김우선I기자님의 댓글
곰돌이아빠I리뷰어님의 댓글의 댓글
서울시, 경기도는 물론 관악구, 동작구, 안양, 과천 등등이 다 따로 따로 안내판을 세워서리...
정작 필요한 곳에는 없고, 한 곳에는 잔뜩 있고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