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리뷰] 예쁜 꽃이지만 '독성' 있어요...반려견에게 '치명적' > 이슈리뷰

본문 바로가기

이슈리뷰


[반려견 리뷰] 예쁜 꽃이지만 '독성' 있어요...반려견에게 '치명적'

본문

[리뷰타임스=최봉애 기자]  본격적으로 봄을 알리는 꽃들이 앞다투어 피어나면서 사랑스런 반려견과 꽃나들이도 많이 갈텐데요. 하지만 일부 식물은 반려견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고 한다. 


보기에는 예쁘지만 반려견에게는 위험한 꽃들이 있다(픽사베이 제공)

 

미국동물학대방지협회에 따르면 강아지에게 위험한 식물은 400여종에 달한다. 이중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  몇 가지를 소개한다. 


강아지는 호기심이 많아 입으로 무언가를 탐색하는 습성이 있다. 집에서 기르는 화분은 물론 산책 중에도 꽃잎을 먹거나 꽃향기를 맡지 않도록 유심히 살펴야 한다.  


>반려견에게 위험한 꽃들>


벚꽃 (Cherry blossoms)  - 구토, 설사, 호흡 곤란 

대표적인 꽃인 ‘벚꽃’도 알고 보면 반려견에게 위험한 꽃이다. 비교적 약한 독성으로 꽃 냄새를 맡거나 소량 섭취하는 정도로는 큰 문제가 생기지 않지만, 산책 시 강아지가 떨어진 꽃잎을 먹지 않도록 잘 관리해야 한다. 벚꽃의 꽃잎, 잎, 씨앗에는 사이아화물이 포함되어 있어 대량 섭취시 구토, 설사,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았다. 


벛꽃 잎을 많이 먹으면 구토, 설사,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픽사베이 제공)

 

진달래 & 철쭉 (Azalea & Royal azalea) - 구토, 설사, 혼수 상태


진달래는 강아지에게 위험한 식물이다. 조경수로 많이 활용되는 철쭉 역시 진달래과 식물로 반려견에게 위해가 될 수 있다. 이는 진달래의 그라야노톡신 성분 때문인데 체중의 약 0.2% 섭취시 매우 치명적으로 작용한다. 철쭉을 섭취하면 심장 박동이 느려지고 구토, 설사, 혼수 상태에 이를 수 있다. 5kg 강아지 기준 10g만 섭취해도 위험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수국 (Hydrangea) - 구토, 설사, 복통 

여름의 대표적인 꽃인 수국은 청산글리코시드라는 독성을 가지고 있어 강아지에게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중독 증세를 일으킬 수 있다. 곷은 물론 잎과 줄기에도 독성이 있으므로 반려견의 접근을 막아야 한다.


백합 (Lily) – 치명적인 신장 손상

백합은 강아지와 고양이 모두에게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꽃이다. 백합을 조금이라도 섭취하면 심각한 신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급성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백합 꽃가루는 적은 양으로도 고양이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선화 (Daffodil) – 구토와 설사를 유발

수선화에는 리코린(Lycorine)이라는 독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강아지가 섭취할 경우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가 수선화를 섭취할 경우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픽사베이 제공)

 

튤립 (Tulip) – 중추신경계 마비 가능성

튤립의 구근에는 강력한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강아지가 먹을 경우 신경계 이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중독 증세 및 심한 구강 점막 자즉을 일으킨다. 튤립향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구토나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카네이션 (Carnation) - 소화 장애, 피부염

카네이션도 강아지에게는 가벼운 소화장애나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불명의 독성을 가지고 있다. 증상이 약하기는 하지만 나이가 많은 노견 등 면역력이 낮아진 반려견에게는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작약 (Peony) – 소화 장애를 일으키는 꽃

작약의 뿌리와 꽃잎에는 강아지에게 해로운 독성 물질이 들어 있어 섭취 시 소화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제라늄 (Geranium) – 강아지에게 독성이 있는 꽃

제라늄의 독성 물질은 강아지의 소화기관과 신경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피부 자극 및 식욕 저하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동백꽃 (Camellia) – 강아지 소화 장애 유발 가능성

동백꽃은 비교적 독성이 약하지만, 일부 강아지에게는 소화 장애와 설사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동백은 일부 강아지에게는 소화 장애와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픽사베이 제공)

 

은방울꽃 (Lily of the Valley) – 심장 기능 저하

은방울꽃에는 강력한 심장 독소가 포함되어 있어 강아지가 섭취하면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고, 저혈압, 발작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히아신스 (Hyacinth) – 심한 구토와 피부 자극

히아신스는 강아지가 섭취할 경우 심각한 구토 및 피부 염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구근이 가장 위험하다.


아이비 (Ivy) – 잎과 꽃이 모두 위험

아이비는 집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지만 강아지가 섭취할 경우 구토, 설사, 호흡 곤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bachoi@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땡삐I리뷰어의 최신 기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