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치] 한국인 금융이해력 하락...“물가상승률 이해도 떨어져” > Consumer

본문 바로가기

소비자

[리서치] 한국인 금융이해력 하락...“물가상승률 이해도 떨어져”

본문

[리뷰타임스=최봉애 기자] 우리나라 성인들의 금융 이해 정도가 2년 전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과 한국은행이 공동 실시한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2024년도 성인(만 18~79세) 금융이해력 점수는 65.7점으로, 2022년(66.5점) 대비 0.8점 하락했다. 다만, OECD 평균(62.7점)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우리나라 성인 금융이해력 점수(금융감독원 제공)

 

금융이해력은 △금융 지식 △금융 행위 △금융 태도 3개 분야에 걸쳐 측정된다. 국내 조사는 지난해 9월2일부터 11월1일까지 만 18∼79세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 특성별로 보면 20대와 70대, 저소득층, 저학력층의 금융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대로 노후 준비와 자산 관리에 관심이 많은 50~60대와 고소득층의 점수는 올라 세대·계층 간 격차는 확대됐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금융지식 점수는 73.6점으로 1.9점 떨어졌고, 금융행위 점수는 64.7점으로 1.1점 낮아졌다. 반면 금융태도는 53.7점으로 1.3점 상승했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 점수가 지난 2022년 78.3점에서 지난해 56.6점으로 급감한 것이 전체 점수 하락의 주된 요인으로 지목됐다.


금융행위 항목 가운데 평소 재무상황 점검(43.4점), 장기 재무목표 설정(42.5점) 점수가 낮아 2022년에 이어 재무관리에 여전히 취약했다. 다만 소비보다 저축을 선호하고 현재보다 미래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늘어나면서 금융태도는 소폭 개선됐다. 


20대의 경우 특히 재무상황 점검(33.2점)과 장기 재무목표 설정(36.1점) 점수가 지난 2022년 대비 큰 폭 하락하며 전체 평균을 밑돌았다.


다만 노후준비와 자산운용에 관심이 많은 50~60대와 연소득 70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의 점수는 상승해 계층 간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재무목표가 있는 성인의 경우, 가장 중요한 재무목표는 주택구입(25.8%)이었으며, 자산 증식(19.9%)과 결혼 자금(13.9%) 순으로 응답했다.


디지털 금융이해력은 45.5점으로 2년 전보다 2.4점 올랐다. 특히 70대 이상 노령층과 저소득층, 저학력층의 디지털 금융이해력이 크게 개선되며 격차가 다소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bachoi@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1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한 회원 보기
추천한 회원
profile_image TepiphanyI리뷰어
땡삐I리뷰어의 최신 기사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