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 10년간 65%나 오른 외식메뉴는 ‘자장면’…평균가격 7423원

본문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지역 7개 외식 메뉴 가격은 2014년 12월 대비 평균 40.2% 올랐다.
대표적인 서민 음식인 자장면 가격은 4500원에서 7423원으로 65% 올라 상승폭이 가장 컸다. 자장면 가격은 2019년 5000원대를 넘어선 후 4년 뒤인 2023년에는 7000원 선마저 돌파했다.
냉면 가격도 8000원에서 1만2000원으로 50% 올랐고, 김치 백반(5725원→8269원)과 칼국수(6500원→9385원)도 44.4%의 높은 가격 상승률을 기록했다.
비빔밥은 7864원에서 1만1192원, 삼겹살은 200g 환산 시 1만4535원→2만282원으로 각각 39.5% 상승했다.
김밥은 3200원에서 3500원으로 9.4% 올라 상승폭이 가장 낮았다.
자장면 가격 상승폭이 가장 큰 것은 주재료 가격 상승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주재료인 파, 오이, 호박, 양파 등 농산물 가격 상승률이 타 품목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최근과 같은 흐름을 이어간다면 올해 자장면 가격은 평균 8000원대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을 보면 같은 기간 파의 소비자물가지수가 110% 급등한 것을 비롯해 오이 100%, 호박 70%, 양파 60% 등 농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높은 가격 상승률을 기록했다. 가공식품성 재료도 소금이 80%, 설탕과 식용유가 50%, 간장이 40%, 밀가루가 30%의 상승률을 보였고 자장면의 유일한 축산 재료인 돼지고기 가격도 40% 올라 원가 부담이 가중됐다. 지난해만 해도 자장면 가격은 1월(7069원)에 비해 12월(7423원)에는 5.0% 인상됐다. 상승폭은 5.4% 오른 냉면(1만1385원→1만2000원)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bachoi@reviewtimes.co.kr>
<저작권자 ⓒ리뷰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천한 회원


땡삐I리뷰어의 최신 기사
-
[Consumer] [스낵] 농심 ‘메론킥’, 출시 첫 주만에 '1위 히트 스낵'으로 자리매김13시간 24분전
-
[Consumer] [리서치] 한국인 금융이해력 하락...“물가상승률 이해도 떨어져”2025-04-29
-
[Culture] [행사] 5월의 여주, 공예가 뜬다...‘2025 경기공예페스타 in Spring' 5월 1일 개막2025-04-28
-
[Culture] [동아리] '문화 예술 동아리' 다 모여라...정부가 최소 105만원 지원2025-04-23
-
[Culture] [도서관] '힙'하게 돌아온 서울야외도서관...광화문·청계천 23일·서울광장 내달 4일 개장2025-04-22
-
[Culture] [공연] 서울의 휴식은 음악과 함께...서울 거리 곳곳에서 '구석구석라이브' 2천회2025-04-21
-
[Culture] [패션쇼] 한복 입은 덕수궁길, 패션소 런웨이로 변신...내달 2일 '서울패션로드' 열려2025-04-21
-
[공공] [한강] 짧은 봄밤에 한강 야경은 길~게...낭만 가득한 <한강야경투어> 시작2025-04-18
댓글목록0